DB

[DB]개념/ 논리/ 물리 모델의 간단 개념정리

리오토리 2023. 2. 1. 16:25

 

 

 

데이터 아키택처

 

 

 

 

 

01. 개념 모델(Conceptual Model)

정의

표현하려는 현실 세계를 개념 모델로 형상화하여 데이터에 대한 관계 구조 정의

표현을 중시으로 한 개념 모델 구성

 

특징

  • 데이터 모델의 첫 단계이며, 고객의 요구사항을 수집/ 분석해 전체적 모양 결정
  • 전체 모델에서 중요한 골격인 엔티티와 관계 위주로 모델링
  • 엔티티, 관계 위주의 모델링을 통해 전반적인 골격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데이터 모델의 속성 표현 불필요
  •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의 범위 및 구조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
  • 사용자와 함께 검토를 통해 신규 시스템에 해당 요구사항 반영 여부 결정하여 개발범위를 정할때 도움

 

 

02. 논리 모델(Logical Model)

정의

개념 데이터 모델을 논리적 구조로 정의하여 DB관리 시스템과 결부된 논리 데이터 모델로 변환

 

특징

  • 개념 데이터 모델에 비즈니스 규칙
  •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하여 제약 조건 반영
  • 데이터 보안성을 검증하여 데이터 접근 경로 및 범위
  • DB설계프로세서의 input으로 비즈니스 정보의 구조, 규칙을 명확하게 표현
  • 데이터 모델링이 최종적으로 완료되어 물리적인 스키마 설계하기 전 단계
  • 누가, 어떻게 데이터에 접근하는지 설명

 

 

03. 물리 모델(Physical Model)

정의

논리 데이터 모델을 데이터 구조화를 통해 지향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 적합한 물리 데이터 구조로 변환

시스템을 고려한 논리적 설계를 해당 구현 가능한 물리적DB로 전환하고 DBMS의 조건에 맞게 성능 최적화한 데이터 모

 

특징

  • 논리적 모델을 각 DBMS의 특성에 맞게 DB 저장 구조(물리 데이터 모델)로 변환
  • 개체 명칭, 데이터 형태, 길이, 영역값등의 변환과 저장공간, 분산, 저장 방법까지 고려해야한다

 

 

 

출처

https://rutgo-letsgo.tistory.com/138

https://bannavi.tistory.com/186

https://dataonair.or.kr/db-tech-reference/d-guide/da-guide/?mod=document&uid=292 DATA논리-물리 리 모델 변환과